미발행-SAP-T-CODE

✅ SAP 개발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T-CODE 목록

T-code명칭설명
SE80Object NavigatorABAP 개발의 중심 도구. 프로그램, 클래스, 함수, 패키지 등 다양한 객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개발 가능
SE38ABAP Editor단일 ABAP 프로그램을 작성/수정/실행할 수 있는 에디터
SE11Data Dictionary테이블, 뷰, 구조 등 데이터 사전 객체를 생성/관리
SE93T-code Maintenance트랜잭션 코드 생성 및 수정
SE37Function BuilderFunction Module 생성 및 디버깅
SE24Class BuilderABAP Object 클래스/인터페이스 개발
ST22Dump Analysis프로그램 오류(SHORT DUMP) 로그 확인
SM37Job Monitoring백그라운드 작업(Job) 모니터링
SE41Menu Painter사용자 정의 메뉴 작성
SM59RFC Destination시스템 간 RFC 연결 설정
SE91Message Maintenance사용자 정의 메시지 클래스 생성
SE78SAP Script Graphics로고 등 이미지 업로드 및 관리
SE93Transaction Code MaintenanceT-code 등록, 변경
SE84Repository Info System객체 검색, 탐색 도구
SE10 / SE09Transport Organizer개발 전송(transport) 객체 관리 (SE10은 사용자 기반, SE09는 요청 기반)
SM30Table Maintenance유지보수 보기(View)를 통한 테이블 편집
SE16 / SE16NData Browser테이블 내용 직접 조회 (SE16N은 New 버전)
SNOTESAP Note 적용 도구OSS Note를 통해 SAP 버그 수정 및 패치
ST05SQL Trace성능 분석 및 SQL 실행 추적
SE80 + Web Dynpro, BSP_WD_CMPWB, SEGW웹 기술 관련 개발 도구 (Web Dynpro, Gateway 등) 

💡 추가 팁

  • 단축키 사용: Ctrl + /로 명령줄에서 빠르게 T-code 입력 가능
  • SE80 vs SE38: SE80은 프로젝트 단위로, SE38은 단일 프로그램 단위로 작업 시 유용

📦 사용자 유형에 따른 T-CODE 예시

  • ABAP(Advanced Business Application Programming) 개발자: SE80, SE11, SE38, SE37, SE24
  • BASIS(Business Application Software Integrated Solution) 관리자: SM37, ST22, SM59, SNOTE
  • 데이터 분석/보고서 개발: SE16N, SQVI, ST05

🔧 BASIS 관리자의 주요 역할

역할설명
🔄 SAP 시스템 설치 및 구성SAP NetWeaver, HANA, S/4HANA 등의 설치와 인스턴스 구성
🔐 사용자 및 권한 관리SAP 사용자 계정 생성, 역할(Role), 권한(Authorization) 부여 및 관리
📦 전송(Transport) 관리개발 시스템 → 테스트 → 운영 시스템으로의 코드/설정 전송 관리 (SE09, STMS)
🛠 시스템 모니터링 및 튜닝CPU, 메모리, 워크프로세스, 디스크 I/O, 백그라운드 잡 등 모니터링
📅 백업 및 복구SAP DB 및 파일시스템 백업 전략 수립 및 복구 작업 수행
📝 로그 및 덤프 분석시스템 오류 로그(ST22), 사용자 세션(SM04), 트랜잭션 추적(ST03/ST05) 분석
🌐 인터페이스 구성외부 시스템과의 RFC/IDOC/PI 연결 설정 및 관리 (SM59 등)
📦 SAP 패치 및 업그레이드SAP Note, Support Package 적용, Enhancement Package 관리
💻 SAP Web Dispatcher & Gateway 관리웹 서버, Fiori, OData 통신 구성을 포함한 웹 기반 트래픽 처리

✅ ABAP 핵심 용어 풀이

용어설명
ABAP고급 비즈니스 응용 프로그래밍SAP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 (4세대 언어, 4GL)
Open SQL개방형 SQLSAP DB에 독립적인 SQL 문법. 다양한 DB에서 공통적으로 실행 가능
Internal Table내부 테이블메모리상에서 데이터를 행 단위로 저장하는 구조 (자바의 List 유사)
Work Area작업 영역내부 테이블의 한 행(row)에 해당하는 구조 변수
Structure구조체필드들로 구성된 복합 자료형 (자바의 클래스와 비슷, 단 메서드는 없음)
Data Dictionary (DDIC)데이터 사전테이블, 뷰, 도메인, 데이터 요소 등을 정의하는 SAP의 메타데이터 저장소
Domain도메인필드의 데이터 타입, 길이, 형식을 정의 (예: CHAR 10)
Data Element데이터 요소도메인 위에 의미(텍스트, 설명 등)를 부여한 필드 타입
Table Type테이블 타입내부 테이블의 구조를 정의한 DDIC 객체
Class / Method클래스 / 메서드ABAP 객체 지향(OOP) 구성요소
BAPIBusiness APISAP에서 제공하는 표준 함수. 외부에서 SAP 기능 호출 시 사용
RFC원격 함수 호출다른 SAP 시스템 또는 외부에서 SAP 함수 호출하는 기술
Function Module (FM)함수 모듈재사용 가능한 코드 단위, SE37에서 개발
Report보고서 프로그램출력 중심의 프로그램 유형, SE38로 개발
Module Pool모듈 풀SAP GUI 상에서 동작하는 인터랙티브한 프로그램 (Dialog Program)
Screen (Dynpro)스크린 / 다이나프로SAP 화면. 필드, 버튼, 탭 등을 구성하는 GUI 단위
SmartForm / SAPScript / AdobeForm출력 양식 도구PDF, 인쇄용 문서 양식 정의 도구
Transaction Code (T-code)트랜잭션 코드SAP 기능/화면을 실행하는 명령어 (예: SE38, SE11 등)
LUW (Logical Unit of Work)논리 작업 단위트랜잭션 단위 처리. 여러 작업을 하나의 커밋/롤백 단위로 처리
COMMIT WORK / ROLLBACK WORK커밋 / 롤백 명령DB 작업을 실제 저장하거나 취소하는 명령
Authorization Object권한 객체사용자에게 기능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단위
Transport Request전송 요청개발한 객체를 테스트/운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패키지 단위
미발행-eclipse_memory_settings_java8

이클립스, 개발 환경 구축

  • Windows 에서 일반적인 설치하는 프로그램은 기본 폴더에 설치하는 편입니다. Program Files 또는 Program Files (x86) 시작하는 경로에 설치합니다. JetBrains제품들은 ToolboxApp 통해서 설치하는 편입니다.
  • C 드라이브에 dev라는 폴더를 만들고, 언어 별로 workspace 분리하고, tools 밑에 자바 압축 파일, 이클립스 압축 파일을 해제합니다.
  • 다른 저장장치가 있으면 Doc폴더는 다른 저장장치에 생성하고 문서를 저장합니다.

폴더 구조 예시

C:/
├── dev/
│   ├── workspace_java/
│   │   ├── project_1
│   │   ├── project_2
│   │   └── project_3
│   ├── workspace_shell/
│   │   ├── project_1
│   │   ├── project_2
│   │   └── project_3
│   ├── tools/
│   │   ├── eclipse/
│   │   └── openjdk-17.0.10
│   └── lib/
└── Doc/

이클립스 다운로드 방법

아래 내용은 2025-04-26 기준이면, Windows 사용자의 설치 방법입니다.

  1. https://www.eclipse.org/downloads/packages/ 사이트 접속합니다.
  2. Windows | x86_64 | AArch64 부분에서 x86_64클릭합니다. 압축 파일을 C:\dev\tools에 넣고 압축을 해제 합니다.

image-20250426110021504


자바 다운로드 방법

아래 내용은 2025-04-26 기준이면, Windows 사용자의 설치 방법입니다. 오라클 JDK는 1.8 이후로 유료화로 인해서 다른 JDK 사용하고 있습니다.

  1. https://adoptium.net/temurin/releases/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 Operating System, Architecture, Package Type, Version 각각을 선택합니다.
항목
Operating SystemWindows
Architecture운영체제가 64bit 이면 x64를 선택하고, 32bit이면 x86선택
Package TypeJDK(Java Development Kit)를 선택
Version17 - LTS, 21 - LTS 중에서 선택하시면 됩니다. LTS는 Long Term Support의 약어로 장기 지원하는 버전을 의미합니다.
  1. 아래 그림처럼 되면 .zip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합니다.

image-20250426111214361


☕자바 환경 변수 설정

ℹ️자바 환경 변수 설정하는 이유

  • 자바(java)프로그램을 컴퓨터의 어떤 곳에서 호출하고 사용하고 싶을 때 자바 환경 변수를 설정합니다.
  • 안하는 경우, 자바(java) 위치를 같이 써야 합니다.

⚙️자바 환경 변수 설정 방법

  • STEP 1. Win + X+ Y 차례대로 누르면, 아래와 비슷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 STEP 2. 왼쪽 트리 메뉴에서 시스템 클릭하고, 고급 시스템 설정을 찾아서 클릭합니다.

    • 클릭하면 시스템 속성 창이 나옵니다.

image-20250614131846047

  • STEP 3. 시스템 속성창에서 탭 메뉴 중에서 고급클릭하고, 창의 하단 부분에 있는 환경 변수(N)...버튼을 클릭합니다.

    • 클릭하면 환경 변수 창이 나옵니다.

image-20250614132049480

  • STEP 4. 환경 변수창에서 시스템 변수 영역의 새로 만들기(W)...버튼을 클릭합니다.

    • 클릭하면 시스템 변수 편집 창이 나옵니다.

image-20250614132302734

  • STEP 5. 시스템 변수 편집창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 완료 후에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변수 이름(N):JAVA_HOME으로 입력합니다.
    • 변수 값(V):은 자바가 압축 해제된 위치를 입력합니다.

image-20250614132500653

  • STEP 6. 환경 변수창에서 시스템 변수 영역에서 Path 찾고 더블 클릭합니다.

    • 환경 변수 편집 창이 나옵니다.

image-20250614132611442

  • STEP 7. 환경 변수 편집 창에서 새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고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 %JAVA_HOME%\bin 입력 완료 후에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image-20250614133043274

  • STEP 8. 환경 변수창에서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STEP 9. 아래 자바 환경 변수 설정 확인 방법항목에서 자바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면 시스템 속성창의 확인버튼을 클릭합니다.

✅자바 환경 변수 설정 확인 방법

  • STEP 1. Win + R차례대로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cmd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명령 프롬프트가 실행됩니다.

image-20250614133411852

  • STEP 2. 명령 프롬프트에서 java -version 명령어를 입력하고, 버전이 나오면 환경 변수를 성공적으로 설정하였습니다.

    • 오류가 발생한다면 cd %JAVA_HOME%명령어를 입력하시고, 자바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하는 지 확인합니다.

image-20250614133601355


Eclipse 메모리 설정 가이드 (Java 8 이상)

🛠 Java 8 이상 기준 이클립스 메모리 설정

💻 시스템 메모리 16GB

-Xms512m
-Xmx2048m
-XX:MetaspaceSize=256m
-XX:MaxMetaspaceSize=512m

💻 시스템 메모리 32GB

-Xms1024m
-Xmx4096m
-XX:MetaspaceSize=512m
-XX:MaxMetaspaceSize=1024m

💻 시스템 메모리 64GB

-Xms2048m
-Xmx8192m
-XX:MetaspaceSize=1024m
-XX:MaxMetaspaceSize=2048m

🧠 주요 옵션 설명

  • -Xms: JVM이 시작할 때 사용하는 초기 힙(heap) 메모리 크기
  • -Xmx: JVM이 사용할 수 있는 최대 힙 메모리 크기
  • -XX:MetaspaceSize: 메타스페이스(Metaspace)의 초기 크기 (클래스 메타정보 저장)
  • -XX:MaxMetaspaceSize: 메타스페이스의 최대 크기
flutter-오류

🚨cloud_firestore 추가 후 오류 발생

💻Flutter, pubspec.yaml 파일에 cloud_firestore

  • 플러터에서 cloud_firestore 추가 했습니다. 빌드 후 앱 실행하니, 오류가 발생합니다.
# Dependencies specify other packages that your package needs in order to work.
# To automatically upgrade your package dependencies to the latest versions
# consider running `flutter pub upgrade --major-versions`. Alternatively,
# dependencies can be manually updated by changing the version numbers below to
# the latest version available on pub.dev. To see which dependencies have newer
# versions available, run `flutter pub outdated`.
dependencies:
  flutter:
    sdk: flutter
  cloud_firestore: ^5.6.7

🚨오류 내용

  • cloud_firestore는 Android NDK(Native Development Kit)가 필수라는 내용입니다.
Your project is configured with Android NDK 26.3.11579264, but the following plugin(s) depend on a different Android NDK version:
- cloud_firestore requires Android NDK 27.0.12077973
- firebase_core requires Android NDK 27.0.12077973
Fix this issue by using the highest Android NDK version (they are backward compatible).
Add the following to C:\dev\workspace_android_test\chapter10\android\app\build.gradle.kts:

    android {
        ndkVersion = "27.0.12077973"
        ...
    }

🛠️해결책

  • app\build.gradle.kts 파일에서 ndkVersion = flutter.ndkVersion 주석 처리하고, ndkVersion = "27.0.12077973" 문구를 추가 후에 빌드 진행합니다.
android {
    namespace = "com.example.chapter10"
    compileSdk = flutter.compileSdkVersion
	// ndkVersion = flutter.ndkVersion // 삭제하거나 주석처리
    ndkVersion = "27.0.12077973" // 추가되는 부분
}

'⚠️오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var/run/docker.sock 권한 문제  (2) 2025.05.02
docker-권한-문제

🚨/var/run/docker.sock 권한 문제

🚨오류 내용

  • docker 명령어를 실행하면, 권한이 없다고 오류 메시지 발생합니다.
$ docker run node
docker: permission denied while trying to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socket at unix:///var/run/docker.sock: Head "http://%2Fvar%2Frun%2Fdocker.sock/_ping": dial unix /var/run/docker.sock: connect: permission denied

🛠️해결책 1

  • 임시 방법입니다. /var/run/docker.sock파일 권한을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 sudo chmod 666 /var/run/docker.sock

🛠️해결책 2

  • docker 그룹을 만들고, docker 명령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docker 그룹에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 아래 방법으로 추가하고, 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 sudo groupadd docker
$ sudo usermod -aG docker $USER #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 이름이 추가됩니다.
$ newgrp
  • ✅확인 작업 진행, 그룹에 추가되어는지 확인합니다. 사용자ID는 명령어 실행한 사람마다 다릅니다
$ cat /etc/group | grep docker 
docker:x:984:사용자ID
  • ✅확인 작업 진행,docker명령어 실행하여 확인합니다.
$ docker search node
NAME               DESCRIPTION                                     STARS     OFFICIAL
node               Node.js is a JavaScript-based platform for s…   13889     [OK]
circleci/node      Node.js is a JavaScript-based platform for s…   134       
cimg/node          The CircleCI Node.js Docker Convenience Imag…   24        
bitnami/node       Bitnami container image for NodeJS              80        
kindest/node       https://sigs.k8s.io/kind node image             111       
okteto/node                                                        2         
chainguard/node    Build, ship and run secure software with Cha…   0         
corpusops/node     https://github.com/corpusops/docker-images/     0         
sitespeedio/node   Node base template                              3         
setupphp/node      Docker images to run setup-php GitHub Action    0         
alpine/node                                                        5         
rootpublic/node                                                    0         
treehouses/node                                                    2         
joxit/node         Slim node docker with some utils for dev        1         
vmware/node        Node.js base built on top of Photon OS          0         
wayofdev/node                                                      0         
vulhub/node                                                        0         
ubuntu/node        Ubuntu-based Node.js image for server-side a…   0         
systemsdk/node     Docker environment with node 16 for Laravel/…   0         
openeuler/node                                                     0         
presearch/node     Run a search node in Presearch's decentraliz…   25        
calico/node        Calico's per-host DaemonSet container image.…   33        
iron/node          Tiny Node image                                 28        
appsvc/node        Azure App Service Node.js dockerfiles           15        
renovate/node      Simple node container                           1       

 

'⚠️오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_firestore 추가 후 오류 발생  (0) 2025.05.02
python_download_guide

🐍파이썬 설치 가이드: 공식 사이트 및 버전별 다운로드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프로그래밍 입문자부터 전문가까지 모두가 애용하는 파이썬(Python)을 어떻게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특히 공식 FTP 경로를 포함해 각 운영체제별 설치 방법도 함께 설명드릴게요.


✅ 파이썬이란?

파이썬은 간결한 문법과 강력한 기능을 자랑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웹 개발,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초보자에게도 배우기 쉽고, 커뮤니티와 자료가 많아서 처음 프로그래밍을 접하신 분들께 강력 추천드립니다.


📥 파이썬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기

가장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은 파이썬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설치 파일을 받는 것입니다.

▶ 기본 링크

  • 공식 웹사이트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https://www.python.org
  • 상단 메뉴에서 "Downloads" 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사용자의 운영체제에 맞는 최신 버전이 추천됩니다. 하지만 특정 버전이 필요하거나 구버전을 설치하고자 한다면 아래의 경로를 이용해 직접 접근할 수 있습니다.

▶ FTP 다운로드 링크 (구버전 포함)

  • 공식 FTP 서버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https://www.python.org/ftp/python/
  • 예를 들어, 파이썬 3.12.0 버전의 64비트 설치 파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www.python.org/ftp/python/3.12.0/python-3.12.0-amd64.exe

여기서 amd64는 64비트용 설치 파일을 의미합니다. 만약 32비트가 필요하다면 win32로 끝나는 파일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 Windows에서 파이썬 설치하기

  1. 위 링크를 통해 .exe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2. 설치 파일을 실행한 후, "Add Python to PATH" 항목을 꼭 체크해주세요.
  3. "Install Now" 또는 "Customize Installation"을 선택해 설치를 진행합니다.
  4. 설치가 완료되면, 명령 프롬프트(cmd) 에서 python을 입력해 설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macOS에서 파이썬 설치하기

macOS는 기본적으로 Python 2.x 버전이 설치되어 있으나, 최신 버전을 사용하려면 수동 설치가 필요합니다.

방법 1. 공식 사이트에서 .pkg 파일 다운로드

공식 홈페이지에서 .pkg 확장자를 가진 설치 파일을 받아 설치하면 됩니다.

방법 2. Homebrew 사용 (추천)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brew install python

설치 후 python3, pip3 명령어로 실행 가능합니다.


🐧 리눅스(Linux)에서 파이썬 설치하기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은 Python이 기본 설치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최신 버전이 필요하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APT로 설치 (Ubuntu 기준)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python3

소스 코드로 설치 (고급 사용자용)

sudo apt install wget build-essential libssl-dev zlib1g-dev
wget https://www.python.org/ftp/python/3.12.0/Python-3.12.0.tgz
tar -xf Python-3.12.0.tgz
cd Python-3.12.0
./configure --enable-optimizations
make
sudo make install

🔄 여러 버전의 파이썬을 설치하고 관리하고 싶다면?

pyenv 같은 버전 관리 도구를 사용하면 여러 버전의 파이썬을 동시에 설치하고 손쉽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

설치 예시 (macOS/Linux)

curl https://pyenv.run | bash
pyenv install 3.11.0
pyenv global 3.11.0

Windows에서는 pyenv-win을 사용할 수 있으며, GitHub에서 설치 안내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IntelliJ & Android Studio 메모리 최적화 가이드.md

💻IntelliJ & Android Studio 메모리 최적화 가이드

📍 IntelliJ IDEA 메모리 설정 위치

  • 설정 파일 경로 (OS별 차이 있음):

    • Windows: C:\Users\<사용자이름>\.IntelliJIDEAx0\config\idea.vmoptions
    • macOS: ~/Library/Application Support/JetBrains/IntelliJIDEAx0/idea.vmoptions
    • Linux: ~/.config/JetBrains/IntelliJIDEAx0/idea.vmoptions
  • 또는 IntelliJ에서 직접 편집:

    • 메뉴 → Help > Change Memory Settings (-Xmx 옵션만 수정할 수 있음)
    • 메뉴 → Help > Edit Custom VM Options...

🔧 메모리 옵션 설명

  • -Xms: 초기 힙 크기
  • -Xmx: 최대 힙 크기
  • -XX:ReservedCodeCacheSize: JIT 코드 캐시 용량
  • -XX:+UseG1GC: G1 GC(Garbage Collector) 사용

🧠 메모리 사양별 추천 설정

시스템 메모리-Xms-Xmx-XX:ReservedCodeCacheSize
16GB1024m2048m512m
32GB2048m4096m1024m
64GB4096m8192m2048m

💡 힙 메모리는 전체 메모리의 25~50%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예시: 32GB RAM에서의 설정 예시 (idea.vmoptions)

-Xms2048m
-Xmx4096m
-XX:ReservedCodeCacheSize=1024m
-XX:+UseG1GC

✅ 추가 팁

  • -XX:+UseG1GC는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GC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 너무 많은 메모리 할당은 오히려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Android 개발을 병행한다면 Android Studio의 메모리 설정도 함께 조정하세요.

SQL Developer 메모리 수정

  1. 아래 경로에있는 ide.conf 파일을 에디터로 열기합니다.
  2. sqldeveloper\ide\bin\ide.conf
  3. 아래 값을 변경합니다.
  4. AddVMOption -Xms128M AddVMOption -Xmx800M

SQL Developer 테이블 생성 및 내용 추출하기

  1. 추출이 필요한 테이블을 선택하고, 오른쪽 마우스를 누르면, 팝업창에서 "익스포트"를 선택합니다.
  2. 익스포트 마법사 팝업창에서 스키마 표시(S), 저장 영역(G)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선택합니다.

SQL문를 정리하는 단축키

Ctrl + F7

SQL 들여쓰기 수정 (기본값: 2)

도구 > 환경 설정 > 데이터 베이스 > SQL 포멧터 > Oracle 형식 지정 > 편집 > 들여쓰기로 들어가서 변경

SQL 날짜 형식 시/분/초 까지 나오도록 변경

도구 > 환경 설정 > 데이터 베이스 > NLS > 날짜 형식

SQL Oralce Developer 한글 깨짐 현상

한글 주석이 깨짐는 문제때문에 찾아보니, 역시나 UTF-8 문제때문에 발생한 문제라서 해결책을 기록한다. UTF-8로 변경하면 한글깨짐을 안 볼 수 있다. 아래의 그림처럼 변경하면 된다.

도구 > 환경 설정 > 환경 > 인코딩:UTF-8로 변경 

개발자 도구 오라클

출처: http://yangyag.tistory.com/151?category=793732

+ Recent posts